jar 파일 이름 변경해서 빌드하기
스프링 부트 2 프로젝트를 빌드 한다면 보통, Gradle(이하 그레이들)이나 Maven을 이용해 빌드하게 될 것이다. 나 같은 경우에는 그레이들을 사용해서 빌드하고 있는데, 문제는 빌드 결과물인 jar 파일의 이름이 불필요 할 정도로 길다는 점이었다. 일반적으로 프로젝트를 빌드하면, 다음과 같은 규칙으로 jar 파일 명이 결정된다.
<프로젝트 명>-<버전>.jar예를 들어 프로젝트 명이 test 이고, 그레이들에 기술된 버전이 0.0.1-SNAPSHOT 이라면,
test-0.0.1-SNAPSHOT.jar...라는 이름으로 jar 파일 명이 결정된다. 이런 식으로 이름이 생성되는 이유가 있는데, 해당 jar 파일이 다른 프로젝트에 포함되어 사용되는 라이브러리인 경우에는 식별을 위해 뒤에 버전이 추가로 붙는 것이다. (EX. spring-boot-2.7.2.jar)
이 때문에, 프로젝트를 빌드 해보면 아래와 같이 0.0.1-SNAPSHOT이 붙은 jar 파일이 생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다른 프로젝트에 포함 시킬 것도 아닌 빌드 결과물에 버전을 기술하는 것은 배포 시 일만 늘릴 뿐이다. 따라서 나는 jar 파일 명에 프로젝트 명만 뜨도록 설정을 변경하려고 한다. 우선 그레이들을 이용한 스프링 부트 2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루트 디렉토리에 아래와 같이 build.gradle, settings.gradle 파일 두 개가 보일 것이다.

settings.gradle 에는 스프링 부트 2 프로젝트를 생성하면서 입력한 프로젝트 명이 기술되어 있다.

그렇다면, 이제 bookmanagement.jar 라는 이름을 가진 빌드 결과물이 생성되도록 build.gradle 설정을 변경해 보겠다. build.gradle를 연 다음, 아래의 내용을 추가하자.
bootJar {
archiveFileName = "${rootProject.name}.jar"
}위의 내용을 추가하고 다시 빌드 해보면, 아래와 같이 bookmanagement.jar 라는 이름의 파일이 생성된 것을 볼 수 있다.

대충 눈치챈 사람들도 있겠지만, settings.gradle에 기술된 rootProject.name의 값을 가져와 파일 명으로 사용한 것이다. 그런데 한 가지 더 거슬리는 점이 있는데, 끝에 -plain이 붙는 jar 파일이다. 이 jar 파일은 무엇이고, 또 어떻게 없애는지는 아래의 글을 참조하도록 하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