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ker] Portainer 설치하기

☝️
Portainer를 설치하려면 반드시 Docker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다만 이 글에서는 Docker 설치 방법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는다. Docker 설치가 필요하다면, 다음의 글을 보고 설치하기 바란다.
[Linux] Docker 간편하게 설치하기 (retrotv.dev)

Portainer란?

PortainerDocker를 웹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UI 도구다. 현재 실행되고 있는 Docker의 컨테이너, 이미지, 볼륨, 네트워크 등을 웹으로 관리할 수 있게 도와준다. 또한 로컬의 Docker뿐만 아니라 다른 서버의 Docker 서버도 에이전트를 통해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Portainer 설치하기

$ sudo docker run -d --restart=always --name=portainer \
  -p 8000:8000 -p 9000:9000 -p 9443:9443 \
  -v /var/run/docker.sock:/var/run/docker.sock -v portainer_data:/data \
  portainer/portainer-ce:latest

포트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8000 포트는 위에서 설명한 대로 에이전트 포트로 에이전트를 사용해 다른 Docker 서버를 관리하고자 한다면 8000 포트가 열려있어야 한다. 만약 로컬에서만 단독으로 Portainer를 사용한다면 8000 포트는 굳이 열 필요가 없다. 또한 9000, 9443 포트는 각각 http, https 포트로, 해당 포트가 열려있어야 웹 접근이 가능하다.

컨테이너가 정상적으로 올라갔다면, 해당 웹 페이지로 접속하도록 한다. 웹 페이지에 접속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뜰텐데, 초기 관리자 계정을 생성하는 과정이다.

Username은 기본적으로 admin으로 세팅되어 있지만, 보안을 위해서 바꿔도 상관없다.

정상적으로 관리자 계정을 생성했다면 이제 Portainer를 사용할 준비가 완료된 것이다. 추후 시간이 난다면, Portainer를 이용해 Docker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다루도록 하겠다.